<p></p><br /><br />이번 주 정부가 벌써 스물 네 번째 부동산정책을 내놨는데, ‘영끌’ 대책이라고 세간에 회자되고 있죠. <br> <br>있는 돈 없는 돈 박박 긁어 집사는 젊은 층이 안타깝다며 국토부장관이 신도시 청약 노려봐라 말한 지. <br>약 두 달 만입니다. <br> <br>[김현미 / 국토교통부 장관 (지난 8월 25일)] <br>다주택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물건들이 많이 거래됐는데 그 물건들을 30대가 영끌하는…비싼 가격에 30대가 사준 게 아닌가. 이런 굉장한 안타까움이… <br> <br>정작 영끌하는 건 정부였던 셈이 됐죠. <br> <br>정부가 영혼까지 끌어 모아 만들겠다는 전세 물량은 11만 4천호. 하지만 인기 없는 빈 집 혹은 호텔방을 개조해 공급하겠다 하면서 이 정책, 시장에 통할지는, 의문입니다. <br> <br>자산도 소득도 적은 2, 30대가 주택담보에 억대 신용대출까지 끌어 모아 집사는 세태. 영끌. <br><br>굳이 장관이 표현하지 않아도 안타깝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스물 네 번이나 대책을 쏟아내는 동안 집값은 내려올 줄 모르고 전월세 시장은 이미 왜곡될 대로 왜곡됐습니다. <br> <br>빚 폭탄을 감수하고 영끌을 각오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. 이제는 정부 대책, 집값 잡을 수 있다는 말, 믿지 않기 때문입니다. <br><br>이런 마당에 ‘꼭 아파트에 살지 않아도 된다’는, 그러면서 자신은 신축아파트에 살고 있는 여당정치인 말이 나왔습니다. <br> <br>집. 집권 여당의 생각과 현실을 사는 국민들 생각은 대체 언제쯤 가까워질 수 있을까요.